SEO는 왜 중요한가?
개발자입장에서의 SEO 중요성 완벽정리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검색 엔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이다. 마케팅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지지만,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도 SEO는 매우 중요하다. 프론트엔드 코드는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이해하고 순위에 반영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SEO의 중요성
SEO는 Zero Moment of Truth(ZMOT)의 일부로,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정보를 찾는 과정이다. ZMOT 중 검색 엔진이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았을때, SEO를 고려한 사이트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며 중요함.
*ZMOT: 제품을 구매하기전 FMOT(오프라인에서 진열된 제품을 살펴보는 순간)보다 더 이전인 자연스럽고 즉각적인 검색의 순간들
검색 엔진의 3가지 구성요소
1. 크롤링(Crawling)
- 검색 엔진의 크롤러(검색로봇)가 웹페이지를 방문해 콘텐츠를 수집한다.
- 개발자의 역할: 웹페이지가 크롤링에 최적화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robots.txt 파일과 사이트맵을 제공하여 크롤러가 방문해야 할 페이지를 안내해야한다. 또한, 크롤러가 쉽게 웹페이지를 탐색하도록 HTML 구조를 깔끔하게 유지하고 a태그로 링크를 명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인덱싱(Indexing)
- 크롤러가 수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키워드와 문서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과정. 인덱싱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넘어서,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구조와 콘텐츠를 이해하는 핵심 과정이다.
- 개발자가 고려해야할 사항:
- 메타 태그 : 검색 엔진이 이 내용을 직접적으로 순위에 반영하지는 않지만,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짧은 설명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해당 description을 보고 들어 올 수 있기 때문에 클릭률을 높일 수 있도록 페이지의 내용을 잘 요약한 메타 설명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사이트맵 : XML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에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사이트맵을 제공함으로써 검색 엔진이 중요한 페이지를 놓치지 않고 크롤링하고 인덱싱할 수 있게 한다. 사이트맵 파일을 Google Search Console에 제출하면 크롤러가 사이트 구조를 더 잘 이해하고 인덱싱 할 수 있다.
- 구조화된 데이터(Schema Markup) : 구조화된 데이터는 페이지의 내용을 검색 엔진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코드이다. 이를 통해 페이지가 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어떤 정보(예: 제품, 리뷰, 레시피 등)가 있는지를 명확히 알릴 수 있다. 이를 사용하면 검색 결과에서 리치 스니펫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검색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 페이지에는
Product
,Review
등의 Schema Markup을 적용하면, 검색 결과에서 별점이나 가격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Product", "name": "Women's Cardigan", "image": "https://www.example.com/images/womens-cardigan.jpg", "description": "A warm and stylish cardigan for women.", "sku": "12345", "offers": { "@type": "Offer", "priceCurrency": "USD", "price": "49.99", "availability": "https://schema.org/InStock" } } </script>
- 헤드 태그(heading tags)의 올바른 사용: 인덱싱 과정에서 검색 엔진은 헤딩 태그(H1, H2, H3 등)의 구조를 통해 페이지의 중요도를 파악한다. H1 태그는 페이지의 가장 중요한 제목이어야 하며, 페이지 당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 아래 H2, H3 등으로 논리적으로 내용을 구분하고, 각 헤딩에 적절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 이미지와 미디어 인덱싱: 이미지나 동영상 같은 미디어 파일도 인덱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alt
속성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이미지의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에 대한 적절한 텍스트 설명을 추가하면, 검색 엔진이 해당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미지 검색 결과에 노출시킬 수 있다. - URL 최적화: 명확하고 간결한 URL 구조를 사용하고, 가능하면 키워드를 포함하여 검색 엔진과 사용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URL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product/12345
보다/product/womens-cardigan
과 같은 형태가 더 이해하기 쉽고 SEO에 유리하다.
3. 랭킹(Ranking)
- 검색 엔진이 검색 결과에서 웹페이지를 어느 위치에 노출시킬지를 결정하는 과정.
- 랭킹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 콘텐츠의 질과 관련성:
-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쿼리)와 페이지 콘텐츠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이는 페이지가 얼마나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의미한다.
-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헤드 태그(heading tags)나 텍스트 콘텐츠에 적절한 키워드를 포함시켜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주제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콘텐츠의 구조가 논리적이고 읽기 쉬워야 하며 너무 짧은 글 보다는 글의 양이 좀 있어야 검색엔진이 유용한 내용이라 판단한다.
-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 페이지 로딩 속도: 페이지가 느리게 로딩되면 사용자 이탈률이 높아지며, 이는 랭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미지 최적화, 코드 압축, 캐싱 등을 통해 로딩 속도를 개선해야 한다.
- 모바일 최적화: 구글은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Mobile-First Indexing)을 적용하고 있으며,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는 더 높은 랭킹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반응형 웹 디자인을 구현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 HTTPS: HTTPS가 적용된 사이트는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며, 구글은 이를 중요하게 평가한다.
- 페이지 권위(Page Authority)와 링크 빌딩(Link Building):
- 검색 엔진은 웹페이지의 신뢰성과 권위를 평가한다.
-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백링크이다. 백링크(Backlink)는 다른 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로 링크를 걸어주는 것을 말하는데, 신뢰도 높은 사이트에서 내 웹페이지로 연결된 링크가 많을수록 내 페이지의 권위(authority)가 높아지고, 검색 순위도 올라간다.
- 내부 링크(Internal Links)도 중요한데,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사이트 내에서 관련된 페이지들 간에 적절한 내부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검색 엔진이 사이트의 구조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고, 페이지 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줄 수 있다.
- 콘텐츠 신선도(Freshness):
-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는 검색 결과에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블로그, 혹은 자주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는 검색 엔진에서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 사용자 신호(User Signals):
- CTR: 검색 결과에서 페이지가 몇 번 클릭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제목과 메타 설명을 매력적으로 작성해 클릭을 유도해야 한다.
- 체류 시간: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머무는지로, 이 지표가 높을수록 해당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신호로 간주된다.
- 반송률: 사용자가 페이지를 클릭한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나가는 비율로, 높은 반송률은 부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유도하는 디자인과 콘텐츠 흐름을 만들어 사용자 참여를 증가시켜야 한다.
- 키워드 전략:
- 키워드 플래닝: 구글 키워드 플래너나 네이버 광고 센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다. 개발자는 이러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구조화하고, 페이지 URL, 헤드 태그, 이미지 alt 속성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 경쟁사 분석: 구글 서치 콘솔과 ahrefs 같은 도구를 사용해 경쟁사에서 사용하는 키워드를 파악하고, 우리 사이트에 들어오는 검색어를 분석하여 전략을 세울 수 있다.
- 콘텐츠의 질과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