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스케치 📝


아이디어 스케치란 말 그대로 아이디어를 스케치화하는 과정이다. 제품이라면 떠오르는 쉐입을 스케치로 슥슥 그리는 것이 되겠고, 서비스 기획이라면 해당 서비스의 로직에 해당되는 화면 즉 UI를 그려보는 것이다. 서비스 기획 과정에 있어 아이디어 스케치는 스토리보드 제작을 위한 사전 작업이 된다.




여기서 잠깐, 스토리보드란?🧐

스토리보드는 실제 작업 담당자(디자이너, 개발자, 퍼블리셔)가 업무를 수행하기 전에 이해해야할 작업 지시서 이다.

스크린샷 2023-06-09 오후 5 07 53
위의 이미지처럼 서비스나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시각적으로 설계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스토리보드는 사용자의 이용 시나리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사용자의 행동과 상호작용, 화면 전환 등을 담은 시퀀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리보드를 본격적으로 작성하기 전에 그려지는게 아이디어 스케치 혹은 프리핸드 스케치라고 한다.

스크린샷 2023-06-09 오후 5 12 34

위와 같이 아이디어 스케치는 스토리보드 작성에 앞서 초기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컨셉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아이디어의 잠재적인 장단점을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아이디어 스케치가 필요한 이유는 다양하다.


아이디어 스케치가 필요한 이유 🙆🏻‍♀️


  1.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 아이디어 스케치는 말로만 설명하는 것보다 시각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아이디어를 전달할 수 있다. 기획자는 아이디어를 시각화함으로써 다른 팀원 및 이해관계자들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아이디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2. 아이디어 검증 : 아이디어 스케치는 초기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케치를 통해 잠재적인 문제점이나 개선 사항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아이디어로 발전시킬 수 있다.

  3. 시간 및 비용 절감 : 아이디어 스케치는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디자인이나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초기 아이디어를 스케치로 시각화하고 수정함으로써 필요한 기능이나 디자인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며, 개발 단계에서의 수정과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스토리텔링 : 스토리보드와는 다르게 아이디어 스케치는 하나하나의 화면 구조를 정리하고 그리고 내부 요소의 이동 경로까지 포함 하고 있어 결과물의 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사용자의 돌발행동 등이 떠올라져 더욱 딥한 화면 설계가 가능해진다. 아이디어 스케치 없이 스토리 보드를 바로 작성한다면 머릿속의 혼돈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하고 결국 정교한 화면 설계를 할 수 없게된다!!


아이디어 스케치 제작 방법 🔥


자, 그렇다면 아이디어 스케치를 제작하려면 어떻게 시작하해 할까?!🧐

  1. 간단하게 시작하기 : 아이디어 스케치는 빠르게 만들어야 하므로, 복잡하거나 상세한 디자인은 필요하지 않다. 간단하게 초안을 작성하자.

  2. 아이디어 중심으로 : 아이디어 스케치는 주로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컨셉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므로, 아이디어에 집중해보자. 중요한 기능, 사용자 경험, 화면 구성 등을 간략하게만 표현하면 된다.

  3. 반복과 수정 : 아이디어 스케치는 처음부터 완벽하게 작성할 필요는 없다. 여러 번의 반복과 수정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개선하려고 스케치를 작성하는 것 이다. 피드백을 받고 스케치를 수정하여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내자.

  4. 협업과 공유 : 아이디어 스케치는 다른 팀원들과의 협업과 공유를 위한 도구이다. 본격적인 스토리보드 작성 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함으로써 아이디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실 별 특별한 팁은 없는 것 같다. 그저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그저 그려보는 것.
완벽하지 않아도 좋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고 시작하는 것!!




마뮤 아이디어 스케치 🚀


위에서 정리했던 아이디어 스케치 작성 방식대로 마뮤 서비스의 아이디어 스케치를 설계해보았다. 메인페이지 부터 시작해 구매까지 5depth 까지만 간단하게 표현했다.

스크린샷 2023-06-09 오후 5 12 34

  1. 마이페이지 : 해당 서비스의 가장 핵심이 될 페이지이다. 해당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서비스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등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할 것 같다. 그리고 내가 구현하고 싶은 서비스는 단순한 쇼핑몰, 게시판과는 달라 이런 가이드 페이지가 더욱 필요할 것 같았다.
    위에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디, 제공되는 두가지 부류의 서비스, 이용 시작 유도 등을 담은 기획 아이디어를 그려봤다.

  2. 상품리스트 : 메인 페이지의 상단, 그리고 페이지 하단의 상품 둘러보기 탭을 클릭하면 상품 리스트 페이지로 넘어간다. 상단에는 인기있는 작가 랭킹 보드가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작품 리스트가 있다. 이 리스트는 인기순, 최신순 으로 필터링이 가능하며 검색을 통해 원하는 작품을 검색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3. 상세페이지, 로그인, 구매페이지 : 해당 페이지들은 기존 쇼핑몰 사이트과 차이점을 크게 두진 않고 설계했다. 상세페이지에서 구매하기, 장바구니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여부가 검증이 되고, 로그인을 한 유저라면 바로 구매페이지로, 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라면 로그인페이지로 갈 것이다.




이렇게 우선 단순하게 스케치를 작업해보았다. 확실히 스케치로 화면을 그려보니 로직이 더 또렷해지고 설계하고 있는 나부터 이해가 쉬워진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로직을 바로 반영해볼 수 있고, 그것의 검증까지 바로 되니 확실히 기획하기 전 필요한 단계라고 느껴진다.
앞으로 있을 팀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새로운 사람들과 설계를 진행하게 될텐데, 이 방식으로 집단지성을 발휘해 더 딥한 로직, 그리고 탄탄한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
.
.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캠프 #프로젝트캠프후기 #유데미 #스나이퍼팩토리 #웅진씽크빅 #인사이드아웃 #IT개발캠프 #개발자부트캠프 #리액트 #react #부트캠프 #리액트캠프